- 가을철 말벌주의 8~9월이 되면 벌초하다 벌에 쏘였다는 기사가 많이 나옵니다. 더위도 좀 물러가서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이기도 하고, 추석명절로 인해 벌초하다보니 더욱 그런거 같습니다. 특히 남자들이 벌에 많이 쏘입니다. 그 중 40~60대 남성들이 가장 많이 쏘입니다. 성묘가서 벌초를 하기 때문에 그렇기도 하고, 또 산행을 가장 많이 하는 연령대라 그런 것 같습니다. 뭐, ... 김태형작성일 : 2012.09.22조회수 : 347
- 주택화재 예방법 제8조(주택에 설치하는 소방시설)① 다음 각 호의 주택의 소유자는 소방시설 중 소화기구 및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1. 「건축법」 제2조제2항제1호의 단독주택 2. 「건축법」 제2조제2항제2호의 공동주택(아파트 및 기숙사는 제외한다 ②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제1항의 소화기구와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설치 및 국민의 자율적인 안전관리를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김태형작성일 : 2012.09.22조회수 : 378
- 뱀에 물렸을 때 응급처치법 뱀에 물린 사람은 눕혀 안정시키고 나서 움직이지 않게 해야 합니다. 물린 부위가 통증과 함께 부풀어 오르면, 물린 곳에서 5~10㎝ 위쪽(심장 쪽)을 끈이나 고무줄, 손수건 등으로 묶어 독이 퍼지지 않게 하고,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하도록 합니다. 또한 뱀에 물린 부위를 입으로 빨아내는 방법은 입에 상처가 있거나 충치가 있는 경우 매우 위험하게 됩니다. 그리고... 김태형작성일 : 2012.09.22조회수 : 277
- (임실119안전센터)소방출동로는 생명로, 소방차에 진로 양보하세요 (임실119안전센터)소방출동로는 생명로, 소방차에 진로 양보하세요 일상의 뉴스속에 하루도 빠지지 않는 기사가 바로 화재 사건이다. 이 중 대형화재로 진행되어 인명이나 재산피해가 발생하면 『조금만 빨리 현장에 출동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촌각을 다투는 화재 ․ 구조 ․ 구급 현장에 얼마나 신속하게 소방차가 도착하느냐에 따라 인명 및 재산 피해의 규모가 결... 박주성작성일 : 2012.09.16조회수 : 306
- (임실119안전센터)추석 앞두고 벌초시 '벌쏘임' 주의해야 (임실119안전센터)추석 앞두고 벌초시 '벌쏘임' 주의해야 매년 추석을 1개월여 앞두고 '벌쏘임'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은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벌쏘임(말벌 및 벌과 접촉) 진료환자가 2007년 5263명에서 지난해 7744명으로 47.14%늘었다고... 박주성작성일 : 2012.09.16조회수 : 321
- 장애인가정 무료로 벌초해드리니다. 전라북도 장애인종합복지관 임실분관에서는 우리민족 고유명절인 추석을 맞이하여 장애로 인해 벌초를 하지 못하는 가정에 벌초를 대행해줌으로서 명절의 의미를 되새기고 뜻 깊은 명절을 보낼수 있도록 지원하고자벌초대행 사업을 실시합니다..1) 대상가구 : 벌초 지원이 필요한 저소득층 장애인가정.2) 신청방법 : 방문 및 전화접수(지역 이장님 추천).3) 모집기간 : 금일부터 ~ 9월 ... 양덕형작성일 : 2012.08.29조회수 : 292
- 허브&블랙푸드 Festival(9/7~9) – 지리산 허브+포도, 흑돼지의 만남 첨부파일 있음 [허브&블랙푸드 Festival (9/7~9/9)] 허브&블랙푸드(포도+흑돼지) 페스티벌"은 허브향토산업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지리산 일대에서 생산되는 허브·포도·흑돼지의 만남이란 주제로 9월 7일부터 9일까지 '허브&블랙푸드 페스티벌'이 개최된다고 합니다. 지리산 허브밸리 일원에서 열리는 "허브&블랙푸드 페스티벌"은 허브향토... 김수미작성일 : 2012.08.28조회수 : 276
- 체험하러 가요(전북장애인종합복지관) 박자영작성일 : 2012.08.23조회수 : 303
- 자연건조 계분(퇴비) 저렴하게 판매합니다 첨부파일 있음 자연건조한 질좋은 계분 저렴한가격으로 판매(배달)합니다 다들아시죠? 거름중에 으뜸은 역시 계분입니다 톱밥마대작업100포단위로 배달합니다 일등퇴비 010********** 많은이용 부탁드립니다 박수남작성일 : 2012.08.09조회수 : 287
- 장애인 차별 및 인권상담 장애인 차별 및 인권상담 전화: 1577-5364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인권센터 전국 어디서나 비밀 상담 가능 합니다. 최재혁작성일 : 2012.07.29조회수 : 318
첫 페이지이전 5개의 페이지678910다음 5개의 페이지마지막 페이지